마케팅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비자를 지칭하는 용어 최근 소비자를 지칭하는 용어가 많아졌습니다. 체리피커, 모디슈머, 그린슈머 등은 어디선가 한번 쯤 들었던 소비자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오늘은 소비자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한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체리피커(Cherry Picker)체리피커는 자신의 실속만 차리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신포도 대신 체리만 골라먹는 사람이라는 뜻이라네요. 체리피커의 예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받으려고 어떤 앱을 받았다가, 이모티콘만 받고 앱을 다시 지우는 경우가 있겠죠. 이런 체리피커가 많으면 기업입장에서는 손해이기 때문에 이들을 타겟에서 제외시키는 디마케팅을 하기도 합니다. 모디슈머(Modisumer)modify와 consumer의 합성어로, 본인의 방식으로 제품을 활용하는 소비자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짜파게티와 너구.. 고객을 추적하는 마케팅, 리마케팅 페이스북을 사용하다보면, 내가 관심있었던 상품이 광고로 나오는 경우가 있었을 것입니다. 심지어 네이버에 '바람의 나라'를 검색했었는데, 페이스북에 바람의 나라 광고가 바로 나오더군요. 이러한 마케팅을 리마케팅이라고 합니다. 리마케팅은 사용자의 '쿠키'를 추적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쿠키란 웹사이트를 접속할 때 사용자가 검색한 내용, 구매 내역, 장바구니에 담았던 물건들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쿠키를 먹으면서 길을 걸으면 부스러기를 흘리며 흔적을 남기듯, 쿠키는 웹사이트 상 사용자의 흔적을 말하는 것이죠. 이러한 리마케팅은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말 관심있는 사람들, 구매를 망설였던 사람 등을 타겟팅하는 것이기에, 불필요한 타겟팅으로 발.. 앰부시 마케팅, 교묘하게 규제를 피하는 법 올림픽의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올림픽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개막한 동계 올림픽이기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올림픽 시즌에 맞추어 떠오로는 마케팅 기법 중 하나가 바로 '앰부시 마케팅' 입니다. 앰부시 마케팅(Ambush Marketing)이란 매복이라는 뜻의 Ambush와 Marketing이 결합된 마케팅 기법입니다. 주로 스포츠 이벤트에서 공식적인 후원업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광고와 개별 선수 후원 등을 통해 공식 올림픽 후원 업체인 듯한 인상을 주어 이득을 보는 방식을 뜻합니다. 알다시피, 스포츠 이벤트를 후원 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돈을 지불하지 않고서도 올림픽 후원업체인양 행동하여 이득을 본 사례가 여럿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2년 SKT와 K.. 온라인 마케팅 용어 CPC CPM CPA CPS 정리하기 온라인 마케팅을 하다 보면 마케팅 용어에 막힐 때가 많습니다. 저도 경영학을 전공하면서 많은 마케팅 강의를 들었으나, 디지털 마케팅 수업을 따로 듣지 않아 용어에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오늘은 온라인 마케팅 용어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CPC CPM CPA CPS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CPC : Cost Per ClickCPC는 클릭당 광고 비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CPC = 광고비 / 클릭수 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0원의 광고비를 소모하여, 10클릭수를 달성했다고 하면 CPC = 30 이 되겠죠. 보통 CPC는 30원 정도로 책정된다고 합니다. (물론 상황과 제품, 매체 등에 따라 CPC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CPM : Cost Per MillenniumCPM.. 그로스해킹, 고객의 마음을 해킹하라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이란 성장이라는 뜻의 Growth와 해킹하다의 hacking이 결합된 마케팅 용어입니다. 그로스 해킹은 상품 및 서비스의 개선사항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즉각 반영해 성장을 유도하는 마케팅 기법을 말합니다. 이는 즉, 고객의 수요와 니즈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반영하여, 변화하는 시장을 사로잡는 것입니다. 과거의 마케팅이 '20대 여성 고객은 이런 성향을 보일것이다' 식의 직관적 판단이었다고 하면 그로스 해킹은 철저하게 데이터에 의존한 분석력이라고 말할 수 있겠죠. 제가 그로스 해킹이 앞으로 가장 각광받는 마케팅 기법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 입니다. 1.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사실 과거의 경우에는 광고를 해도, 광고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는 데에.. 이전 1 2 다음